본문 바로가기

전체 카테고리361

[Java] HashMap 자바를 사용하면서 HashMap이란 용어를 들어보셨을겁니다. 오늘은 HaspMap에 대해서 정리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HashMap은 Map 인터페이스의 한 종류로서 Key와 Value값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Map은 키(Key)와 값(Value)을 하나로 묶어서 저장하는 컬렉션 클래스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됩니다. Map에 종류에는 HashTable, HashMap, LinkedHashMap, SortedMap, TreeMap 등이 있는데 이들 객체 또한 Key, Value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중에서 오늘은 HashMap에 대해서 다뤄 보겠습니다. HashMap 또한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했기 때문에 Map의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고, 저장 방식 또한 동일합니다. 또한 해싱.. 2020. 3. 26.
MVC 패턴이란 웹개발을 하면서 MVC 패턴을 숨쉬듯이 사용하고 있지만, 누군가에게 MVC 패턴을 설명하라고 한다면 빠르게 답변이 나오지 않을 것 같아 MVC 패턴에 대해서 한번 정리를 하려고합니다. 1. MVC 패턴이란? MVC 패턴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입니다. 응용프로그램을 3가지의 구성요소로 역할을 나누어서 개발하는 방법론입니다. Controller : Model과 View를 연결해주는 역할을합니다. Controller는 Model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표현을 담당하는 View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합니다. Model과 View가 각각 무엇을 해야할지를 알고 있으며 통제합니다. Model과 View가 서로 이야기 할 수 없게 합니다. Model .. 2020. 3. 24.
[Java]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분석 오늘은 자바 코딩을 할때 무의식적으로 치고 있는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에 대해서 분석글을 작성해 봅니다. 자바를 배우면 가장 먼저 main함수를 작성하는데 그 의미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을 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우선 각각의 키워드들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main Java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일 먼저 메인(main)메소드를 실행합니다. Java와의 약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public 자바에는 4개의 접근 제어자가 있고 public은 그 중 하나입니다. public 접근 제어자는 어느 곳에서든 해당 객체를 참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4가지 접근 제어자중 제약이 가장 약합니다. main 메소드를 public으로 지정하는 이유는 JVM.. 2020. 3. 24.
[AWS] Route 53이란? 1. Route 53이란? 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DNS 웹서비스입니다. 도메인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DNS는 무엇일까요? 각각의 컴퓨터는 IP라는 고유의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IP는 숫자로 되있기 때문에 사람이 기억하기 힘듬니다. 네이버라는 웹사이트를 들어갈때 우리는 naver.com이라는 주소를 치고 들어갑니다. 이때 naver.com이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Domain입니다. 여기서 DNS(Domain Name Server)라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DNS는 도메인과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도메인 주소에 대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에 해당하는 ip를 알려주는 서버입니다. 마치 친구의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를 가지고있는 전화번호 주소.. 2020. 3. 19.
애자일(Agile) 프로세스란?(2/2) 이전편에 이어서 애자일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자일 프로세스 [Product Backlog] Product Backlog는 앞으로 처리해야할 여러개의 유저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용자 스토리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작성이 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 스토리들은 PO가 정의한 순위대로 정렬되어 있으며 이 우선 순위에 대한 권한은 PO의 직권입니다. 애자일 팀원들은 PO가 내린 결정을 신뢰해야한다는게 기본 전제 조건입니다. 또한 백로그는 계속 스토리가 쌓이는데 PO는 주기적으로 이 스토리들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여 정리해주는 작업을 해줘야합니다. [Sprint Planning Meeting] Product Backlog가 나왔다면 해당 스크럼 팀에서 수행할 스프린트 기.. 2020. 3. 12.
애자일(Agile) 프로세스란?(1/2)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중 하나인 애자일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gile이란 "민첩한", "기민한", "재빠른" 사전적 의미가 있습니다. 많은 조직에서 이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는데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프로세스라고 생각하시면 될 꺼 같습니다. 하지만 꼭 개발 프로세스에만 적용해야 하는법은 없고 상황에 맞게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꺼 같습니다. 1. 전통적인 폭포수 모델형 개발 방법론 폭포수 모델을 포함한 전통적인 개발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큰 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비스 기획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배포 -> 유지보수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총 기간이 6개월이라고 가정한다면, 1개월은 서비스 기획, 1개월은 디자인 , 4개월 개발 및 테스트 배.. 2020.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