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카테고리361 [AWS] EC2 인스턴스 디스크 확장 (EBS 볼륨 확장) 1. EC2 인스턴스 유형 - Ubuntu 2. 볼륨 확장 EC2 대시보드 진입 -> EBS -> 볼륨메뉴로 들어와서 볼륨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볼륨 수정을 클릭합니다. 인스턴스를 실행한 상태에서도 확장이 가능합니다. 저는 기존 8Gib에서 16Gib로 확장을 하였습니다. 수정을 누르고 새로고침을 하면 상태에 "in-use-optimizing"이라는 설명과 몇퍼센트 진행되었는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100%진행이 완료되면 초록색불이 들어옵니다.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파티션을 쪼갭니다. 하드디스크가 500GB라고해서 C드라이브가 500GB가 아닐 수 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전체 드라이브가 커졌다고 볼륨이 커지는게 아닙니다. 콘솔창에 lsblk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현재 사용중인 xvda1이.. 2020. 2. 3. Spring Boot 자동 설정 1. Spring Boot 자동 설정 스프링 Boot를 시작하면 @SpringBootApplication 애노테이션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애노테이션을 Ctrl+마우스왼쪽클릭으로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세히 봐야할 애노테이션은 총 3가지입니다. @SpringBootConfiguration, @EnableAutoConfiguration, @ComponentScan 이 3가지입니다. 스프링부트는 Bean 2번에 걸쳐서 등록을 합니다. @ComponentScan에 의해 @Component애노테이션이 붙어있는 클랙스를 Bean으로 등록하고, 두번째로 @EnableAutoConfiguration에 의해 Bean을 등록합니다. //@SpringBootConfiguration .. 2020. 1. 22. REST API란? 1.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역사 REST는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입니다. 이 용어는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인 로이 필딩(Roy Fielding)의 2000년 박사학위 논문에서 소개되어 네트워킹 문화에 널리 퍼졌습니다. 웹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도중에서 HTTP의 기능을 고쳐야 하는 상황인데, 기존에 구축되어있는 웹과 어떻게 호환성 문제가 생기는걸 피할까 고민을하였고 그 결과로 REST가 나왔습니다. 웹페이지를 변경했다고 웹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으며, 웹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했다고 웹 페이지를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 REST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의 모음으로 자원을 정의하고 .. 2020. 1. 12. URL과 URI 차이점 1.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 URI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입니다. 즉. 인터넷 상에서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으로, 인터넷 상의 자원 위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URL과 URI의 구분 https://tistory.com/item/item.html 은 https://tistory.com 이라는 곳에 item 디렉터리에있는 item.html을 가르키므로 URL이면서 URI입니다. https://insight-bgh.tistory.com/207 여기서 URL은 https://insight.. 2020. 1. 12. [leetcode-680] Valid Palindrome II 1. 문제조건 - Palindrome이란 앞에서 읽은것과 뒤에서 읽은것이 같은 문자열 - 문자열 s는 not empty - a-z까지 소문자 - 최대길이 50000 - 문자열에서 최대 1개의 문자를 삭제 할 수 있음 2. 아이디어 가장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재귀함수를 이용해서 팰린드롬인지를 검사하는 것 입니다. 양쪽 문자의 끝이 같다면 양쪽문자열을 제외한 문자열도 팰린드롬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문자를 최대 한개 삭제할 수 있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이때 분기를 나눠서 재귀함수를 호출해야합니다. 각각의 재귀함수 결과를 '||' 조건으로 합치면 어느 하나가 true이면 결국 true가 반환됩니다. 또한 문자 삭제 횟수가 2회이상인 경우는 검사할 필요가 없으므로 false를 리턴해서 탐색 경우수를 줄이면됩니다... 2020. 1. 9. Docker(도커)란? 현재 회사에서 마이크로서비스를 만들면서 이번 기회에 스프링부트와 도커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 도커(Docker)란?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할일은 개발환경 구성입니다. 서버에 nginx,. mysql, tomcat, jenkins 등 여러가지 툴을 직접 설치하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여러개의 서비스를 만들고 있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할때마다 이 점이 무척 힘들었습니다. 또한 서버에 프로그램을 설치 시 버전 때문에 문제를 겪을 수도 있습니다. docker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도커란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컨테이너는 배에 실는 네모난 상자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컨테이너 안에 여러가지 물품을 넣고 실듯.. 2020. 1. 7.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