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카테고리361

[Algorithm] 조합 코드 구현 (Java) 완전탐색 알고리즘에서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한 후 결과 값을 찾는 방식이 자주 나온다. 그래서 재귀를 통해 조합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이때 기본 형식은 아래와 같다. 1. 조합(Combination) 조합은 고등학교 수학에서 경우의 수를 계산할 때 순열과 조합 파트로 배웠었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수학에서의 순열과 조합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잠시 고등학교 수학에서 배운걸 생각해보면 아래와 같다.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선택하는 방법 nCr : n개 중 r개를 순서에 상관없이 선택하는 방법의 수 nCr = nPr/r! / (n-r)!r! 간단히 예시를 들면 {1,2,3} 에서 2개를 뽑는 경우의 수 는 3C2로 3X2/2! = 6. 즉, 3가지가 나온다. {1,2} {1,3} {2,3}.. 2020. 7. 12.
[Spring Boot] Spring Web Security 기초(1)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 볼 내용은 바로 Spring Security입니다. 기존의 Servlet 필터와 Interceptor로 구현했던 시큐리티 설정을 스프링 시큐리티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실제 구현 과정은 많은 부분 생략하였고 설정 위주로 포스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골라서 보시면 될꺼 같습니다. 1. 인증과 인가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로 "인증"과 "인가"가 있습니다.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인데 인증은 현관문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집으로 들어가는 행위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인가라는 단어는 "인가된 사용자"라는 용어로 많이 사용됩니다. 어떤 행위를 하는데 이 사용자가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면 인가된 사용자라고합니다. 웹에서 인증이란 해당 URL은 보안 절차를 거.. 2020. 7. 9.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모의고사 (완전탐색) 1. 문제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 2020. 6. 16.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가장 큰 수 1. 문제 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 예를 들어, 주어진 정수가 [6, 10, 2]라면 [6102, 6210, 1062, 1026, 2610, 2106]를 만들 수 있고, 이중 가장 큰 수는 6210입니다. 0 또는 양의 정수가 담긴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순서를 재배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numbers의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numbers의 원소는 0 이상 1,000 이하입니다. 정답이 너무 클 수 있으니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합니다. 2. 나의 코드 import java.util.*; .. 2020. 6. 14.
[Java] 자바 Collection 1. Collection 이란? Collection 객체는 여러 원소들을 담을 수 있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JCF(Java Collections Framework)는 컬렉션과 이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음은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상속구조를 나타낸다. Map의 경우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받고 있지 않지만 Collection으로 분류된다. 2. Collection 인터페이스의 특징 2.1 Set 인터페이스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HashSet - 가장빠른 임의 접근 속도 - 순서를 예측할 수 없음 TreeSet - 정렬방법을 지정할 수 있음 2.2 List 인터페이스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 2020. 6. 14.
[알고리즘] 해시 알고리즘 패턴 여러개의 해시 문제를 풀면서 이 알고리즘 문제 유형의 패턴을 분석해보기로했다. 1. 해시 알고리즘 문제인지 파악 문제에서 key와 value로 값으 저장해야한다면 해시 문제일 확률이 높다. 이럴 경우 HashMap 객체를 만들어서 그 안에 key와 value로 저장하고 활용하도록 한다. 2. 자주 사용하는 메소드 2.1 get, put, remove 메소드 map객체를 사용하는 기본 메소드이다. 각각 key값에 해당하는 값 조회, 입력, 삭제를 담당한다. map.get(key); map.put("값입력"); map.remove(key); 2. HashMap 객체 생성 아래 코드는 Key가 String이고, value가 Integer인 경우이다. HashMap map = new HashMap(); 2.3 .. 2020.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