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10

[Ubuntu] 메모리 관리 명령어 1. 메모리 사용량 보는 명령어 free free -m 2. 캐시 비우기 su 명령어를 이용해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 sync && echo 3 > /proc/sys/vm/drop_caches 3. 주기적으로 캐시 비우기 su명령어를 이용해 관리자 모드로 들어간후 crontab에 다음 명령어 맨밑에 등록 crontab -e */5 * * * * sync && echo 3 > /proc/sys/vm/drop_caches 2019. 10. 30.
톰캣 관련 명령어 1. 톰캣 실행 여부 확인 ps -ef | grep tomcat 2019. 10. 19.
[Ubuntu] 젠킨스(Jenkins) 설치 및 깃허브(Github) 연동 스프링을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war 파일을 직접 배포하는 과정이 너무 비효율적이라 젠킨스를 이용하여 배포하기로 하였습니다. 톰캣설정이나 여러가지 설정을 해야해서 생각보다 삽질을 많이했네요. 생각보다 설치과정이 길어서 포스팅이 조금 길어졌습니다. 현재 JDK, MAVEN 설치를 완료 후 환경변수 설정까지 완료한상태고, 톰캣을 미리 설치하고 서버를 구동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톰캣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하단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우분투 톰캣설치 : https://insight-bgh.tistory.com/90?category=857507 1. Jenkins 설치 sudo wget -q -O - http://pkg.jenkins-ci.org/debi.. 2019. 9. 14.
[Ubuntu] 2.톰캣(Tomcat) 설치 웹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 톰캣 서버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저번에는 "apt-get install tomcat8" 명령어를 통해 설치를 했었는데 이럴 경우 기본 설정이 잘 안되있어서 나중에 젠킨스 연동을할 때 엄청 고생해서 apache tomcat 사이트에 접속해서 알집을 다운받고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1. Tomcat8 알집 다운로드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다음 주소에 접속하여 가장 최신의 tar.gz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AWS EC2를 생성하여 서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운받은 알집파일을 파일질라를 통해서 원격서버로 이동 시켰습니다. 만약 로컬에 서버를 설치하시는 분들은 이런 과정은 생략하시면 됩니다. 2. Tomcat8 설치 다음.. 2019.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