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44

[Java] 문자열 split 후 List에 넣기 문자열을 어떤 기준 예를 들면 ',' 단위로 잘라서 리스트에 넣어야할 경우 다음의 코드를 이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for문을 이용한 split -> list 변환 String str = "a,b,c,d,e,f,g"; List list = new ArrayList(); String[] splitStr = str.split(","); for(int i=0; i 2019. 11. 8.
[Java] compareTo() 문자열 비교 함수 compareTo() 문자열의 사전순 값을 비교하여 int 값 리턴 예로 A > B 라고 가정하면, - A = A = 0 (동일한 경우) - A > B = 1 (좌측 값이 큰 경우) - B > A = -1 (좌측 값이 작은 경우) public void test(){ String str1 = "AA"; String str2 = "AA"; String str3 = "BB"; System.out.println(str1.compareTo(str2)); // 결과 0 System.out.println(str2.compareTo(str3)); // 결과 -1 System.out.println(str3.compareTo(str2)); // 결과 1 } 2019. 11. 5.
[Java] 22. JAR (Java ARchive Files) 파일 자바로 개발을 하다보면 종종 JAR 파일을 마주 칠 수 있습니다. JAR 파일이란 무엇일까요? JAR (Java ARchive Files, 자바아카이브)는 여러개의 자바클래스 파일과, 클래스들이 이용하는 관련 리소스(텍스트, 그림 등) 및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모아서 자바 플랫폼에 응용 소프트웨어나 라이브러리를 배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파일 포맷입니다. 정리를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일종의 자바 프로젝트 압축 파일 - ZIP 파일 압축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만들어짐 >> 반디집, 알집과 같은 zip 프로그램과 호환 가능 - JAR 파일은 웹브라우저에서 빠르게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자바 애플릿을 위한 클래스, 이미지 및 사운드 파일들을 하나의 파일에 압축하여 담고 있는 파일이다. - 사용.. 2019. 6. 4.
[Java] 21. 어노테이션 1. 어노테이션이란? 어노테이션은 클래스나 메소드 등의 선언시에 @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어노테이션은 영어로 Annotation이며, 메타데이터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말합니다.(데이터에대한 데이터) ● 컴파일러에게 정보를 알려줌 ● 컴파일할 때와 설치시의 작업을 지정 ● 실행할 때 별도의 처리가 필요할 때 이런 경우에 사용합니다. 이와 같이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은 클래스, 메소드, 변수 등 모든 요소에 선언할 수 있습니다. 2. 미리 정해져 있는 어노테이션 메타 어노테이션은 선언을 위해서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어노테이션은 다음의 5개입니다. (자바 1.8기준) ● @Override ● @Deprecate.. 2019. 4. 20.
[Java] 20. 예외 처리(3) 1. throws 지금까지는 예외를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부터는 예외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정확하게 말하면 자바에서는 예외를 던질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를 봅시다. package c.exception; public class Exception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ceptionSample sample = new ExceptionSample(); sample.throwException(13); } public void throwException(int number) { try { if(number>12) { throw new Exception("Number is over than 12"); } } catch(Exc.. 2019. 4. 18.
[Java] 20. 예외 처리(2) 1. 두개 이상의 catch try-catch 문을 쓸 때 catch에 Exception e라고 아무 생각 없이 썼습니다. 이 catch 블록이 시작되기 전에 있는 소괄호에는 예외의 종류를 명시합니다. 다시 말해서, 항상 Exception e라고 쓰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전 글에서 사용했던 예제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클래스를 만들어 봅시다. package c.exception; public class Exception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ceptionSample sample = new ExceptionSample(); sample.multiCatch(); } public void multiCatch() { int[] intAr.. 2019.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