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코드2 무엇을 어떻게 테스트할 것인가 (feat : 권용근님) 테스트 코드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 이를 작성해나가고 있지만 원칙을 정하기가 어려운와중에 스프링 캠프에서 권용근님의 무엇을 테스트할 것인가? 어떻게 테스트할 것인가에 대한 발표 영상을 보게되었다. 아래 포스팅은 발표 영상을 요약한 내용이다. 테스트에 대한 기본 원칙을 세우고 싶으시다면 맨 아래 REFERENCE의 동영상 주소를 참고하면 된다. 1. 무엇을 테스트할 것 인가? 예를 들면 로또 시스템을 개발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요구 사항을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6개의 숫자 반환 중복되지 않은 숫자 랜덤하게 반환 중복되지 않은 숫자 테스트는 안해도 되는가?? -> 구현은 언젠가 변할 수 있다라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private 메소드인 actD는 어떻게 테스트할 것 인가??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해서.. 2021. 11. 17. AssertJ 기본 사용법 1. AssertJ란? AssertJ란 asssertion(직역 : 주장)을 제공하는 자바 라이브러리로 에러 메세지와 테스트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주는 라이브러리이다. junit5에서 제공하는 Assertions의 assert는 인자 순서 (expected, actual)의 순서가 헷갈릴 수 있는데 Assertions보다 가독성이 좋아진다. assertEquals(expected, actual); assertThat(actual).isEqualTo(expected); 메소드 체이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좀 더 깔끔하고 읽기 쉬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개발자가 테스트를 하면서 필요한 거의 모든 메소드를 제공한다. 2. 의존성 추가 //maven org.assertj assertj-core 3.21.0.. 2021. 11. 15. 이전 1 다음